2023년 Cell 12월 저널 통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PnH 조회124회 작성일 24-05-31 05:13본문
1. Cell: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CAAR-T 세포 요법은 자가면역 뇌염을 치료 합니다.
독일 신경퇴행성 질환 센터와 Charité Berlin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연구에서 NMDA 수용체 뇌염이라고 불리는 가장 흔한 자가면역 뇌 질환에 대한 치료법을 개척했습니다.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를 표적으로 삼아 제거하기 위해 T 세포라고 불리는 백혈구를 재프로그래밍함으로써 이 접근 방식은 새로운 수준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도달합니다. 실험실 연구에서는 성공적이었으며 현재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관련 연구 결과는 '키메라 자가항체 수용체 T 세포가 NMDA 수용체 특이적 B 세포를 고갈시킨다'라는 제목으로 저널 셀(Cell)에 2023년 11월 1일 온라인 게재됐습니다.
Cell, 2023, doi:10.1016/j.cell.2023.10.001
NMDA 수용체 뇌염은 항체 유발 뇌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항NMDA 수용체 항체가 갑자기 뇌를 공격하고, 뇌는 다시 환자 자신의 신체를 공격합니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하랄드 프뤼스(Harald Prüss) 교수는 “전임상 실험에서 이러한 잘못된 표적 항체(항NMDA 수용체 항체)를 형성하는 B세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저자들은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 특수 키메라 자가항체 수용체(CAAR) T 세포(CAAR-T)를 설계했습니다. 이렇게 프로그래밍된 CAAR-T 세포는 항NMDA 수용체 항체를 생성하는 B 세포를 높은 정밀도로 인식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모델에서 이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정확성을 입증했습니다.
2. Cell: 항체의 발견은 약물 내성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다양한 저항 기전을 갖고 있는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심각한 질병률과 사망률을 유발하고 중환자에게 복잡한 감염과 위험한 패혈증 사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연구에서 쾰른 대학, 쾰른 대학 병원,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 독일 함부르크 대학 병원의 연구자들은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만성 질환 환자의 면역 세포에서 항체를 분리했습니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급성 및 만성 감염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그들은 또한 이러한 항체의 결합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관련 연구 결과는 학술지 셀(Cell) 2023년 11월 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논문 제목은 '녹농균을 표적으로 하는 고도 중화 인간 항체의 발견'입니다.
Cell, 2023, doi:10.1016/j.cell.2023.10.002
따라서 새로운 연구에서 저자들은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성공한 접근법인 광범위하게 중화하는 인간 항체를 분리하는 방법이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이자 공동 교신저자인 쾰른 대학 병원의 알렉산더 시모니스(Alexander Simonis) 박사는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사용된 많은 치료용 항체는 감염자, 회복자 또는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에게서 분리되고 개발되었습니다."
저자들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면역 세포로부터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을 표적으로 하는 매우 강력한 항체를 분리했습니다. 이들 항체는 녹농균의 심각한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박테리아의 중요한 독성 인자인 소위 제3형 분비 시스템을 차단합니다 .
세포 배양 및 동물 모델을 사용한 광범위한 실험에서 저자는 새로 개발된 항체가 기존 항생제 만큼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 그러나 이러한 항체의 활성은 항생제의 작용 및 저항 메커니즘과 무관하기 때문에 이러한 소위 "경로 차단제"는 많은 기존 항생제에 비해 약물 저항성이 높은 박테리아에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Cell: SWI/SNF 및 EP400을 표적으로 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은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더 나은 암 치료법의 개발이 기대됩니다.
암세포는 종종 일련의 돌연변이를 겪습니다. 암의 약 20~25%는 SWI/SNF라는 분자 복합체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SWI/SNF 활동을 차단하도록 설계된 약물이 항상 예상대로 작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진이 새로운 연구에서 그 이유를 찾아냈습니다. 그들은 SWI/SNF가 약물로 차단되면 두 번째 분자가 보상을 위해 개입하여 SWI/SNF를 차단하고 동시에 두 번째 분자를 차단하면 실험실 접시에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암 환자에게는 병용 요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관련 연구 결과는 'SWI/SNF 타겟의 글로벌 식별, EP400에 의한 보상 공개'라는 제목으로 Cell 저널에 2023년 11월 2일 온라인 게재됐습니다.
Cell, 2023, doi:10.1016/j.cell.2023.10.006
논문의 교신 저자이자 하버드 의과대학 블라바트닉 연구소 생화학 및 분자 약리학 교수인 Karen Adelman은 "이 새로운 연구는 SWI/SNF에 돌연변이가 있는 암을 치료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에 매우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흥미롭고 의미 있는 점은 일석이조의 두 가지 약물 조합이 이러한 암세포를 억제하는 데 실제로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입니다."
저자들은 SWI/SNF가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확히 밝혀 이 발견에 도달했습니다. Adelman 박사는 "SWI/SNF 복합체가 정상 세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확히 알아낸다면 다른 허점을 찾을 수 있고 암세포를 더 잘 죽이는 방법을 알 수 있다"며 "기본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더 나은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인간 세포에서 DNA는 염색질이라는 형태로 촘촘하게 채워져 있는데, 이는 작은 묵주 구슬처럼 보입니다. 염색질 리모델러(chromatin remodeler)라고 불리는 다양한 분자는 염색질을 다른 위치에서 풀어 특정 유전자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염색질을 다시 포장하여 유전자를 다시 숨깁니다.
SWI/SNF는 그러한 염색질 리모델링 중 하나입니다. 뉴클레오솜, 염색질의 구슬 주위를 이동하고 앞뒤로 미끄러뜨리며 때로는 유전자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에는 SWI/SNF 치료법이 돌연변이된 SWI/SNF 복합체가 유전자에 부적절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 유발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이자 Adelman 실험실의 생화학 및 분자 약리학 연구원인 Benjamin Martin과 당시 Harvard University의 생물 및 생의학 과학 프로그램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Eileen Ablondi는 상황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SWI/SNF를 차단하면 유전자 하위 집합의 활동만 억제할 수 있습니다.
저자들은 SWI/SNF를 억제하면 처음에는 모든 유전자가 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더 자세히 조사한 결과, EP400이라는 또 다른 분자가 유전자 접근을 복원하는 데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SWI/SNF와 EP400을 동시에 차단해야만 비정상적인 유전자 활동을 성공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습니다.
4. Cell: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뇌 시냅스의 복잡성이 밝혀졌습니다.
새로운 연구에서 독일의 막스 플랑크 뇌 연구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Brain Research) 연구원들은 뇌의 기본 구성 요소, 즉 시냅스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재구성했습니다. 그들은 뉴런 사이의 중요한 연결인 시냅스의 복잡한 세계를 탐구합니다. 관련 연구 결과는 '뇌 영역과 세포 유형에 걸친 시냅스 다양성의 단백질체 지형'이라는 제목으로 Cell 저널에 2023년 11월 1일 온라인 게재됐습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시냅스가 있다는 사실을 오랫동안 알고 있었지만, 시냅스의 다양성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구체적인 조합은 미스터리였습니다. 다양한 시냅스 기능을 구동하는 다양한 단백질 조합을 이해하는 것은 뇌 기능을 해독하고 질병 중에 무엇이 잘못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Cell, 2023, doi:10.1016/j.cell.2023.09.028
어떤 특정 단백질 그룹이 다양한 유형의 시냅스를 결정하는지 답하기 위해 수석 저자 Erin Schuman과 그녀의 연구팀은 먼저 다양한 뇌 영역의 다양한 유형의 뉴런에서 시냅스를 분리했습니다. 그들은 관심 있는 시냅스에 형광 태그를 붙여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도록 유전자 조작 쥐를 사용했습니다. Marc van Oostrum과 동료들은 개별 단백질의 수준을 식별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인 정량적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5가지 서로 다른 뇌 영역에서 18가지 서로 다른 시냅스 유형을 분석했습니다.
궁극적으로 슈만 팀은 1,800개 이상의 고유한 시냅스 유형의 풍부한 단백질을 식별하여 시냅스 연결이 의존하는 분자의 놀라운 다양성을 드러냈습니다. van Oostrum은 "이것은 시냅스 다양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큰 도약을 의미합니다. 시냅스의 복잡한 분자 구조를 밝혀줌으로써 우리는 뇌 기능에 대한 이해를 넓힐 뿐만 아니라 신경 질환 및 잠재적 치료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치료적 개입은 새로운 길을 열어줍니다."
새로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시냅스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시냅스 단백질 모듈을 확인했으며 시냅스에서 특수 기능을 구동하는 특정 "단백질 연결체"도 확인했습니다. 예를 들어, 세포가 산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자인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을 방출하는 일종의 시냅스에 특정한 고갈이 있었습니다. Schuman은 “도파민성 시냅스가 산화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파킨슨병 동안 손실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이 발견에 관심이 있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5. Cell: 세포의 리소좀이 형태 변화의 원인이라는 연구결과 입니다.
리소좀은 세포와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질의 분해뿐만 아니라 세포 분열과 성장도 조절합니다. 새로운 연구에서 독일의 라이프니츠 분자 약학 연구소, 베를린 자유 대학교, 베를린의 샤리테 의학 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이 두 가지 기능과 세포 내 영양 공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처음으로 그들은 리소좀에서 극적인 변화를 발견했습니다. 지질 신호 분자는 이 두 상태 사이의 스위치 역할을 합니다. 이번 발견은 신경퇴행성 질환이나 대사성 질환 환자의 세포를 특이적으로 자극해 유해한 세포내 단백질 분자를 분해하는 약물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관련 연구 결과는 '지질 전환 신호에 의한 리소좀 기능의 영양 조절 제어'라는 제목으로 Cell 저널에 2023년 10월 25일자 온라인 게재됐습니다.
저자들은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1~2시간 내에 섭식 상태에서 기아 상태로 전환되는 세포에서 리소좀의 행동을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그들은 형광 표지된 소기관을 3차원으로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 저자들은 또한 이 두 상태의 리소좀을 특성화하기 위한 생화학적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우리는 식량 공급이 변할 때 세포가 극적인 변화를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라고 Haucke는 보고합니다. 일련의 복잡한 사건에서 이 과정은 배고픔이나 식사 상태를 유발하는 지질 신호 분자에 의해 제어됩니다. 그들은 광전 상관 현미경 기술을 사용하여 세포에 두 가지 유형의 리소좀 풀이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하나는 주로 세포 주변에 위치하여 모니터링 스테이션으로 기능하는 작은 이동 리소좀이고, 핵에 가까운 더 크고 더 정적인 리소좀은 분해를 담당합니다. .
변화하는 것은 이 두 가지 유형의 리소좀의 비율입니다. 영양이 풍부한 상태에서는 활성 mTOR 복합체를 운반하는 작은 운동성 리소좀이 지배적이고 정적 리소좀은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세포가 굶어 죽으면 작은 운동성 리소좀은 mTOR의 지질 신호 분자 특성을 잃고 리소좀에서 소화 효소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지질 신호 분자를 얻습니다.
Ebner는 "반응은 심각합니다. 즉, 세포가 즉각적인 변형을 겪고 첫 번째 변화가 몇 분 내에 관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화작용에서 동화작용까지의 이 과정은 1~2시간 내에 완료됩니다.
안녕하세요 PnH 입니다
저희 PnH 는 기존의 폐쇄적이고 의존적이였던 암정보에서 벗어나,
원하면 누구나 언제든 찾을 수 있도록 '입증된 암정보의 공개'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저희 PnH 는 전세계의 암환자분들에게 효과적이고, 입증된 암치료정보를 제공하며
루테시움, CAR-T 카티, TCR-T 티시알티, TIL 틸, 표적치료, 면역치료 등
신뢰도 높은 치료정보와, 검증된 논문을 직접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자료의 불펌은 금지합니다.)
암종별 연구, 치료법, 임상 소식을 누구보다 빠르게 제공해 드리며
환자 스스로 정보를 제대로 알고, 찾고,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