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R-T 급성 B림프구성 백혈병 (B-ALL) >
페이지 정보
작성자 PnH 조회109회 작성일 24-05-13 17:36본문
CAR-T 급성 B림프구성 백혈병 (B-ALL)
>> 기본정보
Jeon Seongmin 여성 24세 ,
초기 진단에서 급성 B 림프구 백혈병(B-ALL)으로 확인되어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습니다.
치료과정
2017년 11월 B-ALL 진단을 받고 VDLP 요법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골수 부분 완화를 보였습니다.
2018년 2월, VLCAM 요법으로 화학 요법을 받았고 골수 유동식 60.13% 악성 B 세포였습니다.
2018년 3월 BiTE 임상시험에 들어갔고 골수 형태가 완화되었으며 유세포에는 악성 세포가 없었습니다.
2018.12.5까지 골수 형태가 완전히 완화되었으며 유세포에는 악성 세포가 없었습니다.
2019년 8월 골수가 재발하여 세타닐린으로 치료한 후 MTX 화학요법을 2회 투여하였습니다.
2020년 9월, 다시 재발했습니다. 재발 후 화학요법을 병행 하였습니다 .
2022년 12월 CAR-T 치료에 대해 전문의와 상의후 입원 하였습니다.
12월 26일 입원 더블 타겟 CAR-T로 치료
2023년 3월 1일 퇴원 하였습니다.
CAR-T 치료는 급성 B 림프구 백혈병(B-ALL), 특히 다발성 난치성(R/RB-ALL)에 좋은 효과를 확인 했습니다.
환자 어머니께서 22년 초 부터 여러 방향으로 치료를 문의 주셨습니다. 발병 초기 이유 모를 몸에 멍과 피곤함으로 생리기간에 두드러 지게 힘들었고 급히 대학병원응급실로 입원하여 검사 후 진단이 되었습니다. 저희에게 문의 주실때 몸무게가 165/41이어서 치료에 있어 현지 의료진의 의견이 우선 체중 3KG이상 증량후 내원을 권했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컨디션이 급속도로 안좋아 지는 상황이 반복되었고 국내 의료진은 사실상 치료를 위한 출국을 반대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여러 상황을 고려해볼때 어려운 것은 맞지만 어머님이 강하게 치료를 원하셨고 현지 의료진과 긴밀한 소통으로 다행히 입원 할수 있었습니다. 비행시간은 얼마 안되었지만 이륙후 환자가 구토를 심하게 하였고 혹시 모를 응급상황에 긴장하며 공항 도착후 바로 구급차로 이송 병원에 입원 하게 되었습니다. 병원 도착후 기침을 시작하여 구토로 인한 기도에 자극으로 확인되어 다행히 무균실로 이동하지 않았습니다. 병원 도착전 혈소판을 준비 하였고 긴급 수혈로 환자컨디션을 올리기 위해 조치 하였습니다.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우선적으로 환자의 치료전 체력을 올리는것을 최우선으로 식사 및 치료 계획을 하였습니다. 기존 배양 기간2주를 최대한 활용하여 컨디션 올리는것을 중점적으로 치료 하였고 입원후 3주 4일차에 세포 주입하였습니다. 체중이 늘지 않아 보호자(어머님)분이 고열량으로 준비 하셨고 어느때고 먹을수 있게 준비 하셨던것이 주요 했습니다. 다행히 세포 주입후 큰 반응 없이 잘 넘겼고 8일차 아침에 코피가 지혈이 안되어 여러 방면으로 지혈을 하였습니다. 2월 셋째주 부터 환자의 빠른 호전과 식사량이 늘면서 하루에 500g씩 늘어 퇴원전 48kg으로 퇴원 하였습니다. 현재 다른 증상 없이 일상생활 중이며 증상이 없이 6개월 단위로 검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PnH 입니다
저희 PnH 는 기존의 폐쇄적이고 의존적이였던 암정보에서 벗어나,
원하면 누구나 언제든 찾을 수 있도록 '입증된 암정보의 공개'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저희 PnH 는 전세계의 암환자분들에게 효과적이고, 입증된 암치료정보를 제공하며
루테시움, CAR-T 카티, TCR-T 티시알티, TIL 틸, 표적치료, 면역치료 등
신뢰도 높은 치료정보와, 검증된 논문을 직접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자료의 불펌은 금지합니다.)
암종별 연구, 치료법, 임상 소식을 누구보다 빠르게 제공해 드리며
환자스스로 정보를 제대로 알고, 찾고,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많은정보를 제공해드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