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종 48세 여 더블 CAR-T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PnH 조회122회 작성일 24-05-15 16:23본문
2020년
거대미만성 B세포림프종 진단후 1차 관해 판정
2022년
10월 재발 조혈모세포이식 준비
국내 CAR-T 임상 불가
2023년
1월 치료 가능 병원으로 자료 송부
3월 13일 출국 및 입원
6월 5일 퇴원 관해 판정
환자와 남편분을 처음 뵙게 된것은 부산에서 였습니다. CAR-T 치료에 대해 교수님께서 설명을 드렸고 해당병원에 연락 하셔서 저희가 만나뵙게 되었습니다. 우선 1차 관해 이후 재발 할경우에 CAR-T 치료를 고려하셨고 작년 10월 재발이후 환자의 자료를 보내 치료 가능여부를 확인 하였습니다. 그 동안 발전해온 CAR-T 치료로 더블 타겟이 가능하게 되어 국내 임상보다 80% 이상의 관해율과 그동안 발전해온 면역세포치료에 효과를 기대했습니다.
전반적인 치료과정에서의 특이사항은 없었지만 세포주입량에 대한 의료진의 고민이 있었습니다. 사이토카인 구간에서의 환자의 신체 반응과 여러 상황을 고려해야 했습니다. 환자의 입원기간이 2주가량 늘어난것도 여러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치료후 추적관찰 중이며 다른 신체 징후는 없습니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트리플 타겟 CAR-T의 경우 곧 논문으로 발표되겠지만 현장의 의료진은 고무적인 반응입니다.
논외로 많은 분들이 문의 주시는것중에 하나로 NK세포 치료에 대해 차이점을 문의 주십니다.
암세포를 인식하지 못하는 자신(자가) NK세포를 배양후 주입하더라도 역시 인식할수 없습니다. 활동하는 NK세포를 배양하여 넣는다? 자가 NK세포가 인식할수 없기 때문에 CAR-NK등 치료가 연구중에 있습니다. 이는 CAR을 결합하여 암세포를 인식할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CAR-T 역시 인식하지 못하는 T세포에 CAR을 결합하여 타겟을 인식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그리고 혈액형이 맞기 때문에 동종 NK세포를 사용해도 된다? 혈액형마다 각각의 구별점(종류 특이성)있습니다.
RH- 혈액형이 있듯이 각 혈액형 마다 다릅니다. 자가 세포 배양? 그렇다면 어느 세포를 얼만큼 배양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렇게 T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는 치료는 TIL치료(종양침윤림프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암조직에 붙어 있는 특정 T세포를 배양 증식후 주입하게 되는 치료로서 특정 T세포 선택 하는것이 핵심 기술입니다.
이런 특이성을 모르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자신 또는 가족이 받는 치료에 있어서 치료기술에 대한 논문과 결과를 확인하시고 선택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PnH 입니다
저희 PnH 는 기존의 폐쇄적이고 의존적이였던 암정보에서 벗어나,
원하면 누구나 언제든 찾을 수 있도록 '입증된 암정보의 공개'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저희 PnH 는 전세계의 암환자분들에게 효과적이고, 입증된 암치료정보를 제공하며
루테시움, CAR-T 카티, TCR-T 티시알티, TIL 틸, 표적치료, 면역치료 등
신뢰도 높은 치료정보와, 검증된 논문을 직접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자료의 불펌은 금지합니다.)
암종별 연구, 치료법, 임상 소식을 누구보다 빠르게 제공해 드리며
환자스스로 정보를 제대로 알고, 찾고,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많은정보를 제공해드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